-
비상발전기 용량산정 방법 및 고려사항전기 2024. 7. 30. 15:45반응형
비상발전기 용량산정 방법을 5가지로 설명하고자 한다
1. 수전용량 비율에 의한 산정 방법
- 비상발전기 용량의 추정을 수전용량의 비율러 추정, 대형건축물인 경우 발전기용량 계획시 참고
식. 발전기용량 = 발전기용량×α
α = 사무실 20~25%, 병원 30%, 통신시설65%, 상하수도 시설 80%
2. 일반부하 경우 산정방법
- 비상발전기의 용량은 발전기의 부하에 전력공급을 원활히 해야함
- 부하 중에 기동전류(전동기류)가 변동이 없으면 적용이 가능
- 수용률의 경우는 동력인 경우 80~100%, 전등인 경우 100%적용
식. 발전기용량 = 부하전체 입력합계 ×수용율 ×여유율
3. 유도전동기인 경우 산정방법
- 발전기가 전동기를 기동할 때는 전동기의 큰 기동전류로 인하여 발전기에 큰 부하가 걸리므로 전원의 단자전압 저하로 접촉자 개방하거나, 엔진의 정지 또는 기동실패가 될 수도 있다,
- 발전기의 기동 후 전압이 확립하였을 때, 전동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함
유도전동기 발전기용량 식 4. PG법 :소방용 비상부하 산정방법
1) PG1 (정상 시 부하용량에 의한 출력)
정상운전 상태에서 부하의 설비기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 비상부하로 분류된 발전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여 원활히
가동하도록 한 발전기 용량
PG1 소방용 비상 발전기용량 식 2) PG2 (과도 시 최대전압강하에 의한 출력)
부하 중 최대 용량의 전동기를 시동할 때 허용전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용량, 즉 전동기의 기동전류로 인하여 발전기 단자전압 저하로 접촉자 개방하거나, 엔진의 정지 또는 기동실패 될 수 있음
PG2 과도시 쵀대전압강하에 의한 출력 식 3) PG3 (과도 시 최대 단시간 내량에 의한 출력)
부하중 가장 큰 전동기를 기동 순서상 마지막으로 시동할 때 필요한 발전기용량
PG3 과도시 최대 단시간 내량에 의한 출력 식 4) PG4 (부하 중 고조파 성분을 고려한 발전기 용량)
실제로 건축물의 계획,설계,시공 시에는 고조파 성분을 추측하여 고려가 어렵지만 고조파 발생 원인이 많거나 고조파로 인한 발전기 용량이 부족이 예상되면 고려
식. PG4 = 고조파성분부하 × (2~2.5)+ (PG1~PG3 제일큰값)
5. RG 계수법
1) RG1 (정상부하 출력계수)
- 정상 시 발전기가 부담해야 할 부하전류에 의해 정해지는 계수0
식. RG1=1.47 × 부하의 수용률 × 불평형 부하에 의한 선전류 증가 계수
2) RG2 (허용전압강하 출력계수)
- 최대기동전류 전동기에 따른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3) RG3 (단시간 과전류내력 출력계수)
- 과도한 부하전류 최댓값에 의한 단시간 과전류 출력계수
4) RG4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 역상전류, 고조파전류에 의한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 비상발전기 용량 선정시 고려사항
1) 발전기 전압확립시간 소요고려
2) 유도전동기의 기동전류를 고려
3) 건축물의 목적, 부하용도를 고려
4) 부하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부하는 줄인다.
5) 소방부하의 법적인 검토를 한다.
반응형'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MP 펌프 고장 교체 방법 및 주의할 점 (0) 2021.10.14 누전경보기 설치방법 등 모든것 (0) 2021.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