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선통신보조설비 누설동축케이블, 분배기, 증폭기 등 공부해 봅시다.소방 2021. 10. 13. 07:36반응형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방식 3가지로는
누설동축케이블누설 동축케이블 방식 : 동축케이블과 누설 동축케이블을 조합한 것
안테나 방식 : 동축케이블과 안테나를 조합한 것
누설 동축케이블과 안테나의 혼합방식 : 누설동축케이블 방식과 안테나 방식을 혼합한 것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종류는 누설 동축케이블,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증폭기가 있습니다
● 누설 동축케이블
누설동축케이블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가느다란 홈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입니다.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누설 동축케이블 등의 설치기준
1. 소방전용 주파수에 대해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할 것
2. 누설 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될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m 이하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것 다만,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 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고압의 전로로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해당 전로에 (정전기) 차폐장치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함
4. 누설 동축케이블은 불연성 또는(난연성)의 것으로 습기에 따라 전기의 특성이 변질되지 아니하고, 노출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피난 및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5. 누설 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
6.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50) 옴으로 할 것
●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분배기 분배기: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과 신호 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
분파기: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혼합기: 두 개 이상의 입력 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
무선통신 보조설비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설치기준
1. 먼지, 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임피던스는 50옴의 것으로 할 것
3.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 증폭기
증폭기 증폭기란 신호 전송 시 신호가 약해져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증폭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증폭기 설치기준
1.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 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 옥내 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2.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 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할 것
3.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기준
무선기기 접속단자 1. 한국산업규격에 적합하고 바닥에서 0.8m-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
2. 지상에 설치하는 것은 보행거리 300m 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5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3. 단자의 보호함의 표면에 무선기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사용되는 무반사 종단 저항의 설치 목적은
전송로로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종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무작정 외우는 거보다 이렇게 구분해서 숙지 후 외우는 게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
반응형'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용 비상조명등 설치기준 및 배터리 교체 방법 (0) 2021.10.16 소방설비 시각경보장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2021.10.11 전동기 용량 구하는 법의 모든 것 ( 소방설비기사 펌프용 전동기 ) (1) 2021.10.09